사회복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2

joy1004 2007. 7. 11. 10:57
 

Chapter 7. 가족


1. 가족의 개념과 기능

◈ 가족

  : 하나의 사회기관이며 사회체계로, 현대사회는 가족의 유형이 매우 다양함.

  ☞가족에 대한 유연하고 다양한 정의 필요함 .


◈ 가족의 형태(Hartman과 Laird, 1989)

   ① 혈연 에 기반을 둔 가족 - 전통적 가족개념

   ② 관계형성에 기반을 둔 가족


◈ 공통적이며 핵심적인 가족의 기능

   ① 인구의 재생산                                 ② 아동의 보호

   ③ 사회화             ④ 성행동의 규제           ⑤ 애정의 원천

 

   현대사회의 가장 큰 문제점: 가족기능의 약화 -> 사회생활의 적응을 가능케 하     는 정서적 지원과 재창조의 기회를 제공 받지 못함


2. 가족주기의 개념 및 단계

   가족의 형성과 유지, 해체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발달단계적 접근을 고려 할

   수 있음


Cater와 McGoldrick(1980)의 가족주기 단계

    ① 원 가족으로부터의 독립기          ② 결혼을 통한 가족형성기

    ③ 아동을 둔 가족기                  ④ 청소년을 둔 가족기

    ⑤ 자녀진수기                        ⑥ 노년 가족기


3. 가족체계이론

◈ 대표 학자 : Minuchin(구조적 체계이론)

    - 가족을 하나의 체계 로 보고 개인의 문제를 심리적 ,내적 요인보다 체계와의        관련성 에 둠

    - 가족 의 구조를 변화시킴으로 체계 내 개인의 위치가 변경되면 그의 경험이        변화되어 결국 개인 에게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고 봄  


(1) 정상적 내지 비정상적 가족체계

    : 가족 성원들의 사회화 내지 지속적인 발달의 기회제공해야함-> 개인의 욕구        가 다른 성원의 희생을 대가로 충족되어서는 안됨-> 자유롭고 직접적인 의사        소통, 합리적 역할수행이 필요.  

(2) 경직된 또는 무형의 역할구조

    :경직된 역할구조- 규정된 역할적응 압력/ 의사소통 극소화

     ->개별화의 출현 또는 규정된 역할로부터의 이탈은 안됨

    :무형의 역할구조- 결여된 구조 /아무도 역할을 담당하지 않고 어떤 행동에 대       한 책임 거부

(3) 가족의 항상성

    : 모든 체계는 자체의 평형상태 유지를 위한 자체규제적인 기전(mechanism)을   가짐-긍정적 및 부정적 기능이 있음.

(4) 가족의 규범

    : 명시적, 암묵적인 규범의 생성

     -> 가족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기능

(5) 가족의 신화

    : 가족 성원들 서로간에 자동적으로 지켜지는 어쩐 신념 내지 기대

     -> 가족의 변화를 저해하고 부정적인 항상성 유지에 기여함

(6) 가족의 하위 체들 (subsystem)

   ① 부부하위체계

     - 가장 기본적 하위체계/ 결혼기능 유지 ->서로 도움도 주지만 '개별성' 필요 

   ② 부모자녀하위체계

     - 자율성을 지원하면서 통제와 허용의 기능을 잘 수행해야 함

   ③ 형제하위체계 - 협의와 타협하는 대인관계를 배움

   ④ 부모 자녀 하위체계-경계의 명확성이 필요

(7) 가족의 경계

    : 원활한 가족의 기능을 위해 명확한 경계가 필요함

      -> 경계의 명확성은 가족의 기능을 평가하는 척도


4. 이혼과 재혼

재혼가족이 성공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요소들(Visher & Visher,1993)

  ① 현실적인 기대를 가짐

  ② 아이들이 한쪽 부모의 상실에 슬퍼하도록 허용함

  ③ 아이들에게 안정된 분위기를 제공함

  ④ 유연하고, 타협적인 가족행사나 의식을 형성함.


5. 가족치료

(1) 구조적 가족치료(Minuchin)

   * 기본 가정 : 만족스러운 가족기능은 성원이 적절한 권위 를 행사하고, 가족        성원의 상호작용을 조직화 하는 분명한 구조가 있을 때 최대화 된다.


-  개 입  -

① 가족 구조 재편성

② 성인에게 맞는 적합한 권한(power)를 세워줌

③ 성원 또는 하위체계가 적합한 권리와 역할, 책임감 개발토록

④ 하위체계 간의 경계를 분명히 하도록 하는 데 초점.

⑤ 새로운 가족교류의 방향, 성원들 역할 교체, 경계 재조정.

⑥ 과제부여, 치료시간에 배운 것을 직접 연습 하도록 함.


(2) 가족정서체계이론(Bowen)

* 기본 가정 : 개인의 정서적 행동유형은 원 가족 속에서 형성되고, 최적의 사회적 기능은 다른 사람들로부터의 자아분화로 나타나게 된다.

-  개입의 목적  - 

① 각 성원이 가족성원들로부터 자아 분화시키도록 돕는 것이며, 성원들이 부정     적 삼각관계를 활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

다세대간 가계도

: 삼각관계, 밀착의 근원, 가족의 기능을 이해한다.


(3) 의사소통이론(Satir)

* 기본가정

  : Satir의 성장지향적이고 인본주의적인 철학은 인간은 본래 착하며 자신의 잠재      력을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믿는다. 이러한 잠재력 개발이 방해를       받을 때 병리가 발생한다.

중심개념 : 성숙

    ->  가족으로부터 분화된 자아를 확립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짐

개입

    : 가족의 의사소통유형이 명확해야 함을 강조함

      -> I-message 활용, 솔직하고 구체적인 의사표명이 중요


(4) 전략적 접근(Haley)

* 기본가정 : 가족의 이중구속 메시지

    -> 정신분열증,대부분의 가족장애에 영향을 미친다고 봄.

  : 의사소통 유형을 통해 부부간의 관계의 본질을 규명할 수 있다고 봄, 모든 관      계에 숨겨진 것은 힘 내지 권력으로서 두 사람 간의 관계는 권력투쟁의 관계.      배우자가 문제가 있는 것은 힘의 관계를 재구성해 보려는 노력. 

- 개입 -

  : 가족성원의 문제행동을 유지시키는 현재의 행동 유형을 변화시키기 위한 구체      적 계획을 세우고 이를 시행하기 위해 지시를 하거나 과제를 내준다.

    역설적 기법을 많이 활용한다.


건강한 가족의 6가지 특징

  1. 헌신 (commitment): 가족서원들은 서로의 안녕과 행복을 위해 헌신하고 가족       이라는 단위에 가치를 부여한다.

  2. 감사와 애정(appreciation & affection): 서로를 인정하고 고마움을 표현한다.

  3. 긍정적 의사소통(positive communication): 의사소통기술이 좋고 대화하는 시       간을 많이 갖는다.

  4. 함께 하기(time together):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다.

  5. 영적 안녕(spiritual well-being): 삶에 대한 비젼과 신념을 갖는다.

  6. 스트레스와 위기 대처능력 (ability to cope with stress and crisis): 스트       레스나 위기를 성장의 기회로 간주한다.

1. 헌신

   아버지가 아들에게 줄수 있는 최상의 선물은 바로 부부가 행복하게 사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부부간의 불화와 이혼이 자녀에게 엄청난 고통을 안겨주게 되     기 때문이다. 어떤 부모들은 부부관계의 중요성은 뒤로 하고 자녀들을 잘 키우     는데 몰두 하는데 이는 실수하는 것이다. 부부간에 서로 헌신하고 서로 사랑하     는 모습을 보는 자녀는 안정감을 갖는다.


부부는 다음과 같이 서로에게 헌신하는 계획을 세울 수 있다.

   1) 회사일로 인한 외식은 일주일에 3번 이하로 한다.

   2) 일주일에 한번 적어도 4시간 이상 데이트하기

   3) 하루에 30분 이상 대화나누기

   4) 일주일에 50시간 이상 회사 일에 얽매이지 않기 등등


   또한 가족 공동의 목표를 가져보고 이를 이루기 위해 노력한다


2. 감사와 애정의 표현

   한사람이 다른 사람을 인정하고 감사를 표할 때 여기에는 당신은 가치있고 소중     한 사람이다라는 메시지가 숨어있다. 사람은 인정받을때 자기가치감이 향상된      다. 서로 야단치고 비난하면서 상처를 주며 관계가 좋아질수 없다.

   감사와 애정표현이 많을수록 집안은 긍정적인 분위기가 된다.

   그렇지만 애정표현이 왜 어려운가? 아마도 자라온 가정환경 때문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애물을 빨리 극복해야 한다. 연습이 필요로 된다.

   또한 자기존중감이 낮아서 그럴 수도 있다. 자기자신의 강점을 보도록 해야 하     며 또한 다른 사람의 강점을 보는 연습을 해야 한다.

   자녀들에게도 자녀가 얼마나 사랑스럽고 특별한 존재인지를 자주 확인시켜 주어     야 한다.

   또한 자녀들이 자주 감사를 표현하도록 가르쳐야 한다. 이럴수록 다른 사람의      장점을 볼 수있다.


3. 긍정적 의사소통

   가족의 불행의 원천이 의사소통방식에 있다는 사실이 인정되고 있다. 좋은 의사     소통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지켜야 한다.

    ① 경청한다. 상대방이 말할 때 잘 들어주고 인정해준다.

    ② 모호한 메시지는 명확히 한다. 넘겨짚기는 금물이다. 혼자 생각하지 말고          한번 점검해 본다.

    ③ 상대방의 입장에서서 공감한다.               ④ 비판이나 평가를 삼간다.

    ⑤ 갈등이 발생할 때 윈윈개임이 되도록 한다.

4. 함께 하기

   가족이 함께 함으로써 고독과 소외를 막아주고 가족의 정체성을 가져다 주며 좋     은 의사소통으로 이끌어갈수 있다.

   추억의 여행을 떠나고, 추억을 만들며, 함께 식사하면서 담소를 나누고, 집안일     을 함께 하며, 함께 취미활동을 하고 특별한 이벤트를 만드는 것도 좋다.

   사랑하는 사람에게 시간을 내어주는 것이야 말로 가장 값진 선물이다.


5. 영적 안녕

   종교를 가지고 기도와 묵상을 하며 교리에 대한 공부를 하면 영적으로 성숙하면     서 낮은 자기존중감에서 벗어나 자신의 가능성을 볼 수 있다.

   남을 사랑하고 상대방을 개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삶을 살게 된다.

   신앙을 통해 새로운 눈으로 세상을 볼 수 있고, 기도를 통해 위로와 힘을 얻는다.


6. 스트레스와 위기의 대처

   위기 속에서도 긍정적인 측면을 볼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 위기나 비극에 굴     복하지 않고 조금이라도 밝은 부분을 보려고 한다.

   이러한 능력으로 인해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질 수 있고, 우울과 절망에 빠지지      않을 수 있다.

   한 사람이 전적으로 책임을 맡기보다는 서로 짐을 나누어 지고 온 가족성원이      한 마음으로 대처해야 한다.

   유머감각을 잃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유머를 통해 웃음을 잃지 않는 것이 스트     레스를 이겨내는 해독제란 점을 명심해야 한다. 웃음을 통해 질병을 이겨낼 수     도 있는 것이며, 위기를 이겨낼 수 있는 정신적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다.

   우선순위를 정해놓고 참여해야 할 일의 수를 줄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또한     과도한 일은 잘게 나누어 한번에 하나씩 해나가는 것도 스트레스를 잘 대처해나     가는 방법이다.


Chapter 8. 집단 

집단의 이점

   ① 인간행동에 영향을 주고 문제해결 위한 네트워크 형성

   ② 집단에서 행동을 배워 연습함으로써 외부 사회에 더 잘 참여, 적응함 -일반   화가 잘 됨

   ③ 비용 측면에서 효과적 임

   ④ 단순한 참여와, 보는 것만으로도 학습효과.

   ⑤ 소속과 인정에 대한 욕구 충족 시키는 장.

   ⑥ 개인을 자극하고 성장 시키는 장.

(1) 집단의 유형


   ① 일차집단과 이차집단(Cooley)

      ․ 일차집단-게마인샤프트적인 관계형성-비공식적이고 개인적, 자연발생적인    관계형성. 예) 가족

      ․ 이차집단-게젤샤프트, 공식적이고 계약적

   ② 자연집단과 형성집단(Toseland와 Rivas)

     ․ 자연집단-가족, 친구집단. 일차집단과 유사

     ․ 형성집단- 외부의 영향이나 개입을 통해 형성된 집단.

                 외부의 후원이 있다.

                 치료집단, 위원회, 동아리, 운동 팀이 그 예다.

                 수행해야 할 일련의 과업과 공식적 규범이 있다.

   ③ 과제집단과 치료집단

     ․ 과제집단과 치료집단은 모두 형성집단에 해당.

     ․ 과업집단은 특정과업을 완성하거나 어떤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이나 치   료집단은 성원들의 변화를 추구하고 욕구를 충족시킨다

     ․ 성원구성에 있어서 과제집단은 과업성취를 위한 전문성이나 자원이 필요하   나 치료집단은 공통된 문제나 욕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 과제집단은 주로 역할이 할당되나 치료집단은 상호작용을 통해 역할이 형성   된다.

     ․ 과제집단은 자기노출이 거의 없지만 치료집단은 자기노출이 많이 기대된다.

     ․ 비밀보장의 측면에서 과제집단은 보통 대중에게 노출되지만 치료집단에서는   성원들을 사생활을 보호해야 한다.

     ․ 평가에 있어서 과제집단은 집단과업을 중시하나 치료집단은 개인의 치료목   적이 중시된다.


(2) 사회체계로서의 집단의 특성


    - 체계적 관점에서 볼 때, 집단은 더 큰 환경 속에 있는 체계들과 상호 연결되        어 있고 상호영향을 주는 체계.

    - 다양한 하부요인들이 서로 연결되어 영향을 주고 받음 -> 홀론(holon) : 각        체계는 전체인 동시에 부분

    - 집단은 더 커다란 사회체계와 연결되어 에너지를 교환.

▣ 집단 성원의 역할

  ① 과업역할

     : 정보 및 의견 제공자/탐색 가, 주창자, 방향제시자, 요약자, 조정 자, 진단         자, 충전 자, 가능성 검증 자, 평가자 

  ② 집단유지역할

     : 참여고무자, 화합 가, 긴장 완화자, 의사소통 촉진 자, 분위기 평가자, 진         행관찰자, 적극적 경청 자, 신뢰 형성 자, 대인관계 문제해결자

  ③ 방해자 역할

     : 공격자, 방해꾼, 인정추구자, 원조추구자, 플레이 보이, 독재자


◑ 체계이론 차원에서 고려될 수 있는 집단의 기능

    ① 통합(integration)을 추구 

    ② 형태유지(pattern maintenance)를 추구

    ③ 목적달성(goal attainment)을 추구

    ④ 적응(adaptation)을 추구 


3. 집단의 발달단계


(1) Klein(1972)이 제시한 집단의 발달단계

    ①오리엔테이션 : 집단의 목적, 성원 소개

    ②저항(resistance):집단과정의 인지된 위협에 방어.

    ③협상(negotiation):규범 설정, 핵심이슈 일치점

    ④친밀(intimacy):안전 감/ 유대형성/집단과 목적 일치

    ⑤종결(termination): 집단 과업의 종결, 분리


(2) Garland, Jaones와 Kolodny(1965)가 제시한 집단 발달 5단계

    ① 친밀 전(pre-affiliation) 단계

       : 성원들의 점근- 회피행동 나타남

    ② 권한 및 통제(power& control) 단계

       : 집단의 역동성, 분위기가 갈등적인 시기에 접어 듬 -> '과도기'

    ③ 친밀 (intimacy)단계

       : 사기와 공동체 의식, 신뢰도↑/ 집단목적 이루려는 동기 ↑

    ④ 분화(differentiation)단계 : 확고한 집단응집력과 조화

    ⑤ 분리(separation) 단계 : 부정, 불안, 퇴행, 의존성


4. 효과적 집단

Schriver(1995)

   1. 목적 성취

   2. 성원간의 좋은 관계 형성 및 유지

   3. 효과 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변화하는 환경적 조건에 적응하기

◑ Johnson과 Johnson(1991)

   1. 집단 목적의 분명한 이해, 집단성원 욕구에 타당.

   2. 성원들의 생각과 감정을 분명, 정확하게 전달

   3. 리더십과 참여가 성원들 사이에 적절히 분배

   4. 합당한 의사결정 과정이 마련돼야 함

   5. 건설적인 갈등발생 바람 직, 고무. 

   6. 권한은 성원들 사이에 동등하게 배분

   7. 집단 응집력은 높아야 함.

   8. 문제해결능력 높아야 함.

   9. 대인관계적 효과 성 높아야 함.


Chapter 9. 조 직


1. 조직의 개념과 유형


(1) 조직의 개념

   - 특정 목적을 추구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구성된 사회단위 - Talcott Parsons

   - 목적이나 임무를 성취하기 위한 전문화되고 상호의존적인 사람들의 모임.

   - 둘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이 지속적이고 의도적이며 목표지향적인 활동에 관여하는 체계


(2) 인간서비스조직에 의해 추구되는 세 가지 목적   (Neugeboren, 1985)

   ① 사회적 보호 목적

      : 개인의 삶의 질을 ↑, 잠재력 최대화 하도록 환경을 변화

   ② 사회통제 목적

      : 타인의 삶의 질 방해 or 비행을 일삼는 사람들의 행동 통제

   ③ 재활목적

      : 더 나은 삶을 살고, 잠재력 발휘, 사회적응을 잘 하도록 개인을 변화.


 목적치환: 본래의 목적과 반대되는 목적을 추구하는 행위-역기능적 변화

 목적승계: 본래의 목적 성취 후 새로운 목적으로 재배치-기능적 변화


(3) 조직의 유형

   ① 공공/ 정부기관-국립대학, 시립사회복지기관, 경찰서

   ② 민간 비영리기관-모금회, 재단

   ③ 민간 영리기관-기업


2. 조직에 대한 관점


(1) 과학적 관리이론 (Taylor)

     : 산업체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

       ☞조직의 효율성은 조직이론의 주요 관심사.

  ◑ 효율성  투입에 비해 최대의 산출 얻음

  ◑ 효과성  목적이나 목표의 성취 정도

  ◑ ‘시간과 동작’(Time and motion)  연구

     ☞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연구.

        피고용인의 독립적기능(자율성) 최소화

Max Weber 가 주창한 관료주의

   1. 구체화된 직무수행 위한 고도로 분화된 단위

   2. 피고용인 입장의 독립적 판단과 결정기회최소화

   3. 조직을 통제하기 위한 수많은 규제적 규범

   4. 권위의 서열화를 통한 감독체계

   5. 문서를 통한 의사소통

   6. 능력을 기반으로 한 고용

   7. 비인격화 (모든 사람의 개별성 무시)


(2) 인간관계이론

     : 과학적 관리이론과 관료주의 이론에 대한 대응으로 출현

   ▣ Hawthorne Studies

      : 노동자들은 단지 경제적 보상만으로 동기화되는 것이 아닌, 노동자들에 대          한 개인적 관심이나 염려 같은 비공식적 요인들에 의해 동기화 된다는 것          을 발견.

        비공식적 사회집단의 역할이 중요

        과학적 관리이론과 마찬가지로 효율성과 생산성 최대화를 조직의 중요 목          적으로 봄


(3) X이론과 Y이론 (Douglas McGregor)


   ◑ X이론

      - 조직 성원의 활동을 지시하고, 통제하는

      - 관리자의 역할에 대한 신념을 반영함.

      - 보통의 인간은 일하기를 좋아하지 않음

      - 인간은 지시 받기 좋아하고 책임을 회피, 안전을 추구

      - 과학적 관리의 가정과 일치됨


   ◐ Y이론 (인간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

      - 조직의 성원이 기본적으로 자신과 조직을 위해 성장하고, 발전하고 배우려          는 기본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음

        ☞ 따라서 이를 실행할 수 있도록 지지적인 관계형성을 창출하는 관리자의             역할을 중시.

인간의 동기이론과 일치되며 사회사업의 핵심 관심사와 일치됨



(4) Z이론

 Z이론은 직업의 안정성, 집합적 의사결정(팀접근)과 집합적 책임을 강조.

 공동체의식과 밀접한 대인관계 같은 문화적 신념이 선행되기에 가능

 문화적 다양성 또는 다양한 가치와 의견에 대한 존중이라는 개념과 거리가 있다는 점이 단점


(5) 종합품질관리(Total Quality Management)

     ☞ Edwards Deming(1982)

        뛰어난 질적 서비스와 피고용인의 권한 강화를 강조함

    ◎ Barker(1995)

       - 클라이언트와 소비자에 의해 규정된 질이 궁극적 목적이 되는 조직관리 형태

       - 클라이언트의  ① 만족(CT의 변화하는 욕구를 중시)

                       ② 피고용인의 권한강화가 중요함

       - 사회사업의 실천의 기초와 일치됨


(6) 체계적 관점

    : 통합적이고 총체적인 관점으로 과학적 관리학파와 인간관계학파를 종합하려        는 시도 보여주고 있음.

    ◑ 개방체계의 9가지 특성

       ① 에너지의 투입중요성  ② 전환  ③산출  ④ 순환

       ⑤ 항- 엔트로피

       ⑥ 정보의 투입, 부정적 피드백, 부호화 과정 

       ⑦ 안정상태와 역동적 향상성

       ⑧ 분화                ⑨ 동일귀결 성

3. 조직과 사회사업실천


(1) 인간서비스 기관들의 특성

   ◑ 인간서비스 조직이 공통적으로 접하는 조직의 문제

     ① 인간을 다루며, 변화 시키는 기관-사람들에 대한 통제력을 얻기 위해 협력          과 신뢰를 필요로 함

     ② 사람을 다루기 때문에 객관적 결과물 얻기 어려움

     ③ 제 1의 자금출처는 정부의 세금 + 기부금. 서비스의 증가가 수입의 증가라          는 결과를 낳지 않음

     ④ 자금의 출처는 정치적, 제도적인 환경에 의존적 임

     ⑤ 소위 '도덕적 작업'이므로 종종 스트레스를 줌.

     ⑥ 여성직 이라는 말이 있음. 


(2) 조직이 직면하는 불확실성

  ◑ 내부적 불확실성

    ① 구조적 복잡성-복잡하고 다양한 집단에 봉사

    ② 기술적 불확실성-가장 좋은 개입이 무엇인지 확실히 알지 못함

    ③ 인간의 다양성 - 직원과 관리자의 성격이나 신념 가치가 서로 달라 갈등 일으킴

  ◑ 타 기관과의 관계와 관련된 불확실

     다른 기관과 종종 경쟁관계에 있기 쉽다. 특히 자원이 부족할 때 영역불일치 발생

  ◑ 기관의 외부환경 : 외부환경이 그 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나 자원을 가지       고 있지만, 기관은 그것을 통제하거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때.

  ■ 조직행정은 이러한 불확실성을 이겨나가기 위해 내적 외적 환경을 관리해나가       는 지속적 싸움. 내부로부터의 끝없는 변화를 추구해야 함.


(3) 조직의 구조와 운영

  ◑ 조직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 검토해야 할 사항들

   ① 조직의 형성목적과 조직강령을 이해           ② 조직의 권한 구조

   ③ 비공식적 구조 -성원들의 운동모임, 향우회, 종교모임 등

      장점: 조직원들 간의 의사소통과정을 알 수 있고, 누가 정책결정자에게 영향              력 발휘하며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 알 수 있음. 조직의 갈등이나               비공식적 가치에 대해 알 수 있음.


(4) 기관의 변화

    - 기관의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개선하고 불공정을 수정하기 위해 기관의          규범과 정책 또는 전체 프로그램이 변화될 필요 있음.

    - 변화를 거부하고 현상유지를 고집하는 기관은 쇠퇴함

     ☞ 일선 워커나  중간관리자들이 CT를 위해, 기관의 변화 대행자로서 움직여야함.

기관의 변화과정

  ■ 문제를 조사하고 기관에 대한 파악을 한다: 예) 기관의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파악

  ■ 변화 초래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사정

  ■ 구체적 목표 수립

  ■ 개입전략 개발

  ■ 평가


Chapter10. 지역사회


1. 지역사회의 개념

  - 개인, 가족, 집단, 조직을 통해 수행되는 사회사업은 기본적으로 지역사회를

    수립하기 위한 벽돌을 만들어 나가는 것.

  - 개인과 환경이 만나는 곳 ☞사회사업 핵심

◆ 지역사회의 두 가지 유형

   ① 지리적 위치(장소)에 기반을 둔 지역사회

   ② 공통된 관심사와 소속감에 기반을 둔 지역사회- 동성애자 집단, 특정 종교집단


2. 지역사회에 대한 이론적 관점

(1)구조주의적 관점

    - 구조: 체계의 부분이 어떻게 전체를 이루기 위해 구성 되었는가 & 어떻게 구              성요소가 연결 되어 있는지를 말해줌

지역사회의 구조를 보는 방식

  ① 정치적, 법적 관점(political-legal perspective)

     지역사회는 정치적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고 국가와 개인 사이를 중재하는 자       치구역, 시, 군 등을 말함

  ② 지리적 조직(geographical organization)

     땅의 경계나 소유권, 구획정리 등이 잘 되었는가?

  ③ 권력 구조 

     각종 집단이나 조직이 지역사회의 사건이나 상황에 대해 영향력을 발휘하는        정도를 사정


(2) 기능주의적 관점

    -  지역사회의 목적 또는 기능은 무엇이고, 목적성취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어떻게 하는지를 강조.

    - 건강한 지역사회는 사회적 체계들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지원과        자원을 제공한다.

◐ 5가지 유형의 지역사회의 기능  warren

   ① 서비스나, 재화의 생산, 분배, 소비기능

   ② 사회화 기능

   ③ 사회적 통제 기능

   ④ 주민들간의 상호교류 기능 (사회통합)

   ⑤ 상호지지 기능 (상부상조)


(3) 인간 생태적 관점

  ▶ 지역사회가 복잡한 유기체 임을 강조.

     - 지역주민들은 둘러싼 환경에서 상호교류 함

     - 사람들의 모임과 조직이 지역사회 라는 공간에 어떻게 배치되는지 중시

       ☞“주민과 영토적 접근”

  ▶ 거주환경으로서의 지역사회라는 개념: 주민의 특성, 분포에 관한 인구사회학       적사실 중요시, 또한 오염, 자원의 고갈, 공중위생 같은 환경적 이슈 중요시.       주민과 지역사회 환경과의 조화(fit)를 검토

  ▶ 지역사회에 적용 가능한 인간생태적 개념 ☞ 경쟁

     - 지역사회 내 공간이나 자원은 제한적->생존경쟁-> 사회계층, 사회경제적          지위로 연결. 이러한 인간생태학적 관점은 적은 자원을 가진 사람들이 직면         하는 문제나 불공정에 초점을 두는데 도움이 됨.



(4) 구성주의적 관점

     - 지역사회의 관계형성 방식에 초점을 둠 .

       : 지역사회에 대한 상호작용적, 정서적 측면에 초점을 두는 접근.

  ◈ 지역사회에 대한 기본 개념  Tonnies

    ① 게마인샤프트(gemeinchaft)

      : 공유된 전통, 문화, 삶의 방식에 기반 ☞ "자연적 의지"

    ② 게젤샤프트(gesellschaft)

      : 계약적 교환에 기반을 두는 관계형성 ☞ " 이성적 의지 "


(5) 사회체계적 접근

     - 지역사회를 물리적, 공간적 양상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지역사회 내의 다양         한 하부체계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분석하는 데 초점.

   ◐ 각 하부체계의 주요단위

    ① 공식적 조직

       : 사업장, 정부기관, 종교단체, 학교, 사회복지기관

    ② 비공식적 집단

       : 가족이나 각종모임. 지역사회의 기능에 기여하므로 관심의 대상


   ▣ 지역사회 주민의 상호작용 유형

    ① 수형적 연계  (horizontal linkage)

      : 지역사회내의 다른 성원들과 상호작용 주민의 정체감 형성에 도움

    ② 수직적 연계  ( vertical linkage )

      : 지역사회 외부의 체계나, 개인들과 상호작용-자원확보위해 필요


   ▶ 네트워크 분석 : 지역사회의 사회적 유대 연구에 도움

   ▶ 사회체계적 관점의 이점

       CT가 속한 지역사회 및 CT의 상황을 사정하고, 원조하기 위해 워커가 무엇         을 할지를 찾는 데 도움이 됨. 워커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져볼 수 있다.

   1) 지역사회는 주민에게 활용 가능한 자원(투입)으로 무엇을 가지고 있나?

   2) 투입요소가 주민의 욕구충족에 효과적으로 운영되는가?

   3) 지역사회가 엔트로피(와해)쪽으로 진행되고 있지 않은가?

   4) 주민들의 사회적 유대와 관계망은 어떠한가?

   5) 지역사회를 향상시키기 위해 어떤 행동을 취할 것이고, 이 행동이 어떻게 주        민에게 영향을 줄 것인가?




(6) 갈등적 관점

   : 갈등주의적 입장에서는 사회서비스가 지배세력의 현상유지를 지속시키고 있다       고 주장 (Castells 1977)

   ☞ 사회사업의 사명은 사회개혁 이라고 주장!

   ☞ 지역사회의 갈등을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

   사회사업가는 지역사회의 권력구조를 분석!

   내부 권력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외부에 존재하는 권력도 이해하여 지역사회의     변화가능성과 한계를 확인한다.


3. 지역사회에 대한 분석

  - 사회사업가가 지역사회 주민들이 경험하고 있는 억압과, 좌절 그리고 변화에       대한 욕구해결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강점과 문제를 개념화 할 수 있는 체계      적 접근을 필요 로 한다.

지역사회 분석틀  (warren, 1978)




4. 사회복지사와 지역사회


  ◑ 지역사회의 사회사업실천에 대한 함의

   ① 다루고자 하는 지역사회의 많은 정보 를 획득

   ② 상황에 맞는 거시적인 접근 시도함

   ③ 개인과 가족에 개입할 때 지역사회의 지원 뿐 아니라,기여할 수 있는 기회         를 사정 함.  

   ④ 사회계획, 행정가로서 지역사회정보체계에 익숙함 

   ⑤ 소속감과, 자원확보를 위한 상호작용

   ⑥ 사회서비스를 보유, 개발하기 위한 옹호활동

   ⑦ 억압받는 집단의 의식고양을 촉진 함

   ⑧ 지역사회 내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협상

   ⑨ 문제해결을 위한 자원확충을 위해 연합체를 개발


11.12 강의자료


Chapter 11 태아기와 유아기

1. 태아기

   임신기간 - 약 28주.

◐ 태아의 성장과 기능의 결정요인

   : 생물, 심리, 사회적 요인을 모두 포함

☞산모의 연령/ 유전적 특성/ 영양섭취/음주/흡연/ 약물복용

☞산모에 대한 신체적 방임, 학대

☞산모와 아버지의 정서적 상태도 큰 영향

  -산모의 스트레스는 아기의 뇌와 혈액 속의 호르몬 수준을 변화


태아의 발달 3단계

  ■ 임신 1단계: 임신3개월까지. 감기약 등 조심. 모든 기관이 기본적인 형태를                    갖춤. 입덧 시작.

  ■ 임신 2단계: 임산 4-6개월. 발가락과 손가락이 나뉘고 피부, 손금, 머리카락,                   눈이 발달. 태아가 활발히 움직임

  ■ 임신 3단계: 7-9개월. 태아는 6개월-26주면 생존 가능.

◐ 임신한 여성에 대한 사회사업가의 역할

1. 임신에 대한 양가감정

    : 어머니에게 태아의 발달과 출산에 대한 교육, 부부에게 스트레스 줄일 수 있        는 개입 프로그램개발, 필요한 자원확보 도와야 함.

2. 저소득 가정

    : 양양상태유지 / 임산부의 정서안정 유지

3. 기형아: 예) 다운증후군(Down's syndrome)- 1000명당 17명 정도(산모의 나이가      영향 줌).    신생아의 약 3%는 비정상적.

  ☞기형아 검사를 미리 해볼 필요성

  ☞장애아 출산에 대한 찬반을 잘 논의하고 이해하도록 도움

4. 약물사용

    흡연이나 음주는 심각한 영향. 임신초기에는 감기약이나 카페인 금해야 함.

5. 낙태

    ☞ 이유에 합당한 정보와 지원, 의뢰 / 지지적 서비스

6. 불임 - 약 10-15%

    ☞ 입양에 대한 정보. 부부가 어떤 선택을 하던 지지적 상담과 옹호가 필요

7. 십대임신

    ☞교육중단, 정체감 및 역할혼란, 기형아 출산. 자신들의 상황을 현실적으로         파악하고 선택하도록 도울 준비. 십대 임산모를 위한 시설홍보.

2. 유아기(Infant)

   : 출생 후 2세까지

  ◐ 저 체중아 출생률(출생 시 몸무게 2.5kg ↓) - 3%(95년) -> 4%(02년) / 미국       약 7% -> 유아사망률 높임

  ◐ 조산아

     : 마사지 치료(massage therapy) 가 효과적임

◐ 출생 후 18개월 : 애착을 발달

'신뢰 대 불신' 단계 (Erickson)

   - 자신의 환경과 보호자에 대한 신뢰를 배우는 시기.

   - 아기의 요청에 즉각적 반응 하지 않으면 불신감, 무관심, 불안 발생. 우는아       이를 거칠게 다루면 정서적 자기조절기능 발달 저해.

▶ 사회사업가

    :장애 있는 아기에게 부모가 자극과 접촉을 자주 제공하도록 교육

◑ 아기의 정서발달에 대한 연구 - Izard(1982)

   - 출생 직후 : 흥미, 혐오, 불쾌 및 행복감

   - 2.5~6개월: 노여움, 슬픔, 놀람, 두려움

   - 18-24개월: 부끄러움, 죄책감. 자랑스러움

◑ 두려움 - 생후 1년 이내 발달

   ▷ 낯가림 : 생후 5-6개월시작, 낯가림이 없는 것은 정신치체나 정서장애의 초                 기증상 가능성.

   ▷ 분리불안 : 유아가 애착대상물과 분리될 때 나타나는 불안반응, 8-10개월 사  이 시작.

   ☞ 대상영속성의 개념을 획득한 후 불안이 완화.


모유 수유

■ 소화나 면역에 도움

■ 친밀감과 애착 증진

■ 수유 시 불편한 마음으로 먹이는 것은 불안감 형성

▣ 아동학대

- 생후 1년 동안 유아사망의 주요원인

- 생후 3년 내 일어나는 폭력적 외상은 아동에게 심각한 뇌의 변화를 초래함

- 학대로 인한 만성적인 외상 적 스트레스

   : 뇌의 충동조절 능력 감소 ☞ 공격성, 충동성, 폭력성 ↑

- 최근 어머니의 우울로 인한 만성적 방임 증대, 발달적 지체의 원인이 됨.

◐ 생후 1년 : 걸음마 시작 / 언어, 운동능력 크게↑

◐ 생후 2년 : 급격한 두뇌발달

   : '감각 운동기'(piaget)에 해당됨

① 정보 받아들이며, 다양한 감각 배움

② 목적지향적인 행동

③ 대상 영속성의 개념 획득 (8개월 이후 시작하여 20개월 정도에 완전히 획득)

사회사업가의 역할

1. 교육자와 지지제공자의 역할 : 특히, 장애를 가진 부모-> 지지집단

2. 강력한 옹호자 역할 : 의료, 심리, 치료적 서비스에 대한 접근과 조정에 적극 개입

3.데이케어 서비스연결 : 일하는 부모를 위해 낮 동안 유아보호


Chapter 12.아 동 기


1. 아동전기(2~6세) : 학령전기

행동반경을 계속 넓혀가는 시기.

   -> 신체적 협응 능력 발달로 이동력 증가, 언어능력의 성장,

◑ 주요발달과제

   배변훈련 :자율성, 통제력 줄 수 있는 훈련 필요

◑ 인지발달 단계 -> 피아제의 전 조작기

   : 현실감은 있으나, 현실과 비현실을 구분하는데 어려움.

   : ' 물환론적 사고' /  마술적(magical thinking) 사고'

◑ 3~4세

  : 언어활동의 급속한 증가

  -> 질문통해 학습과 어휘기회 ↑, 독백하는 능력(장난감 놀이통해 자기방향감이       나 통제감 향상).

  -> 말더듬이(3~5세) : 엄격한 부모, 비현실적인 목표부과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긴장적 협응장애.

◑ 자율성 및 독립요구 강해짐.

  -> 자율성 대 수치심 (2~4)

  -> 주도성 대 죄의식 (4~6)

     : 지나친 복종 심이 아닌, 독립적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도움

◑ 사회화의 기능

☞ 부모(1차적 역할),가족환경, 양육태도는 아동의

   사회적 적응에 핵심변수.

◑ 성정체감 (gender identity) -> 2세경에 시작

  : 자신의 성에 관련한 행동, 자신의 성기에 관심

  : 반대의 성을 가진 부모에게 애착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엘렉트라 콤플렉스

부모는 아동의 성적표현과 행동의 한계를 설명, 감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움

◑ 아동의 놀이친구 : 또래와의 상호작용

☞사회화에 도움. 발달상의 이득.  

< 놀이의 유형 >

- 혼자 놀이 /평행놀이/ 연합놀이/ 협동놀이 

◑ 공격성 : 4세에 절정, 그 후로 협상기술의 습득으로 점차 줄어 듬

< 공격적 행동을 다루는 전략 >

- 긍정적 강화, 타임아웃 기법, 성인의 모델링, 넓은 놀이 공간 제공

▣ 부모의 양육태도

  ☞ 아동에 대한 일관된 양육태도 중요!

  ☞ 아동이 긍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하도록 도움.

  ☞ 적절한 행동을 하도록 행동제한을 정해 줌.

◑ 아동학대

: 신체학대, 방임, 아동 성폭행을 포함

-> 학대 받은 아동들은 신체적, 심리적 어려움, 공격성, 대인관계 어려움, 낮은 자존감, 고립 등의 문제를 보임.

학대부모의 특성-어린 시절 학대경험, 약물남용, 빈곤과 사회적 고립됨. 자신의 정서적 욕구충족방법 모름, 분노조절이 어려움, 책임전가, 자신감 결여.

◑ 사회사업가의 역할

- 아동의 부모나, 아동과 관련한 다른 체계에 개입.

- 부모교육 프로그램 통해 부적절한 양육방식을 교정.

- 학대 부모에 대한 교육:

1) 어떤 감정이나 사건으로 학대하게 되는 지 인식하기

2) 학대행동으로 진전되는 경고신호를 발견하기

3) 분노조절 기술 배우기

4) 자신은 물론 아이를 자랑스럽게 여기기

5) 아이에게 현실적인 기대를 할 수 있도록 아동발달에 대해 배우기

◑ 빈곤가정 아동들

-> 적절한 지원을 확보하기 위한 옹호활동.


2. 아동후기 : 학령기(6~12)

▶ 아동의 사회적 활동이 가정중심-> 또래집단중심

   : 학교와 사회적 활동 통한 외부세계의 관심 ↑

◑ 학교에서의 경험

: 친구나 성인과 상호작용기회를 통해  아동의 발달에 중대한 사회적 및 지적 영향

: 학교 환경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해 '적합성'을 고려해 봐야 함.

◑ 근면 대 열성 (Erickson) 에 해당

◑ 동료와의 관계의 중요성 : 친구들과의 상호작용

☞ 개인의 자존 감 영향 / 아동의 가치와 태도를 형성

◑ 대중매체

   : TV 프로그램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

   :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

   : 상상력이나 신체적 운동에 대한 기회 잃음

▶ 정서적인(성적 충동의) 휴면기 , 그러나 이성적인 활동이 빨라짐- 이혼의 증가, 부모관심부족, 대중매체발달

▶ 구체적 조작기 - Piaget

▣ 사회사업가의 역할

① 학교적응문제, 학업수행상의 문제

: 아동, 가족, 선생님과 함께 치료계획을 세우고, 수행함.

낙인 이 붙지 않도록 주의!

: 아동의 자아개념과 사회적 기능에 해로운 영향.

☞ 놀이치료가 효과적인 접근일 수 있음

② 또래집단의 구조

- 아동이 또래집단의 권력구조와 잘 협상할 수 있도록 도움

- 집단 따돌림 (bullying)의 문제 발생하지 않도록 도움

- 집단지도 : 대화하는 법. 갈등해결, 자기주장  기술을 가르침

③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 불안. 우울, 행동장애, 주의력 결핍장애, 자폐증, 학교 공포증

   미국: 약 12%, 한국 약 25%

◐ 정신지체아

:장애아에 대한 전환교육, 평생계획 수립 -> 가족의 심리적 부담을 완화

◐  학교사회가업제도의 정착의 필요성

: 학교와 가족,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다차원적 서비스


13.14 강의자료


Chapter 13. 청소년기와 성인초기

1. 청소년기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과도기

- 개인의 신체적, 정서적 성숙이 이뤄짐(Havighurst)

☞ 중요한 심리사회적 과제 : '자아정체감 달성' 이성과의 정상적인 인간관계, 성     역할, 정서적 독립, 가치 및 윤리체계 획득

◑ 성적 발달

  ① 성적 호기심 : 성폭력/ 임신 / 성병 문제

  ② 십대임신의 문제

  ③ 동성애적 감정

◑ 형식적 조작기(Piaget)

  - 추상적, 논리적, 분석적, 다양한 관점으로 상황을 봄

◑ 창의력 많고, 이상주의적, 인본주의적 이슈에 관심 많음

◑ 의존성 vs 독립심

   : 부모에 대한 의존과 성인으로서의 독립심 교차

◑ 자아정체감의 발달

   : 다양한 시도와 재평가를 통해 성취

◑ 연장된 청소년기: 역할혼돈, 무책임, 반항, 사려 깊지 못한 행동. 독립된 성인                      으로 발달해 나가는데 대해 두려움 가지기 때문.

▣ 청소년의 정체감 상태 - James Marcia

1. 정체감 혼돈

   : 자신에 대한 의미 있는 대안 탐색하지 않음. 가장 미숙한 상태

2. 정체감 상실

   :부모의 강요로 자신의 이상과 신념을 탐색할 기회 잃음

3. 정체감 유예

   :정체감 형성의 욕구를 경험하나, 적극적 노력 부재!

4. 정체감 성취

   : 자신의 이상과 직업을 위한 강력한 노력.

◐ 청소년기의 반항적 요소인 퇴행적, 병리적인 행동(행동화):

   희망과 성공에 대한 잠재력의 지표로 볼 수 있음

☞ '도움에 대한 요청' (cry for help)

◐ 사회사업가의 관심사

■ 가족갈등의 희생양으로서 청소년 비행.

■ 자살 가능성(우울증, 공격성, 약물남용, 반사회적 행동 증상). 6-13%의 청소년     이 자살시도. 임신, 부모의 이혼, 학교성적스트레스, 이성친구와 결별, 우울증     과 낮은 자존감이 원인

■ 섭식장애( 여성의 3%는 거식증, 약8%는 폭식증)

■ 가족의 와해. 부모의 이혼-우울과 비행

■ 약물남용-뇌에 영향. 원인은 반항감, 친구압력, 소외, 스트레스, 낮은 자존감.

■ 청소년 비행 (5-12% 만성적 비행). 가족의 와해, 가정폭력, 부모의 우울증, 부     모 역할 포기, 비행친구, 낮은 학업성취도가 원인.


2. 성인초기(20-34)

  ◐ 일반적인 발달과제: 취업, 진학, 결혼, 부모되기. 노화가 시작됨.

  ◐ 형식적 조작기 (Piaget)와 '후기 형식적 조작기'에 해당

     -> 후기형식적 조작기는 더욱 객관적/ 복잡한 상황에 적용 가능한 인지적 조          작 가능. 대화적 사고 (삶의 갈등이나, 모순의 역할을 인정하는 사고방식)

  ☞ 청소년기에 비해 사고방식의 질적 변화

' 친밀감 대 고립감' (Erickson)

   : 성인초기의 주요발달과제

   -> 정서적으로 만족스러운 관계형성을 개발하는 것.

'사랑'을 경험하는 것.

♥ : 기술이 필요/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려는 노력/ 상대방의 강점을 찾으려는 노       력/ 믿음

사랑이 깨지는 이유

n 남자들의 본능적 충동 때문

n 여성은 이점을 명심하고 항상 대비해야 한다

◑ 외로움: 청소년, 성인초기에 가장 많이 나타남.

-> 사회적 고립과 연결, 원하는 만큼의 대인관계보다 적거나 만족스럽지 못한 대      인관계가 원인

-> 외로움의 차원: 이성관계, 친구관계, 가족관계, 지역사회관계  ☞ 개입: 인지      치료, 사회기술훈련 이 가장 많이 활용됨

-> 외로움으로 이끄는 사고유형의 예:

    "난 좀 따분한 사람이고 매력이 없어"-친구 만들기를 피한다.

    "난 다른 사람과 대화가 힘들어", "내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기 힘들어"- 자기       노출을 최소화한다.

    "난 다시 상처 받기 싫어"-앞으로의 친밀한 관계형성을 회피한다.

◈ 성인초기에 선택되는 생활방식

1. 직업: 경제적 욕구, 사회적 관계형성, 자아개념에 영향

2. 결혼 : 약 10%는 독신 선택. 부부간 갈등, 부모와의 갈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3. 부모가 되는 것: 아동의 사회화와 교육, 부부간의 협력과 타협필요, 직업에 영향

4. 분리- 개별화 과정: 배우자, 부모, 자녀와의 관계 속에서 분화가 일어나야 함. 그러나 분리는 갈등을 일으킬 수 있음.

◐ 사회사업가와의 상담

   성인역할(배우자, 직장인, 부모)에 대한 어려움 - 과거로부터 해결되지 못한 심     리사회적 문제로 인함.

☞ 인지치료-개인의 과거발달상의 사건에 대한 해석이나 의미파악.

   사회기술훈련이나 가족치료를 통한 개입


성인기의 남녀 차이

n 교재 참조


Chapter 14. 장년기와 노년기

1. 장년기(35-60)

▶ 신체적 노화와 징후가 분명히 나타나는 시기 : 시, 청력 저하/ 성기능 변화 /      만성질환 ↑

'생산성 대 침체성' (Erickson)

  - 생산성: 미래세대를 위해 생활의 개선에 힘씀

  - 침체성: 이러한 노력이 수행되지 않을 때 발생-이기주의, 자아탐닉

◐ 장년기의 정체 감 변화

: 직장 및 가정과 관련하여 자신의 자아를 검토, 기대와 역할을 재검토, 때로 우울    과 불안을 경험함

≒ '환상탈피' (Levinson과 동료들) 필요.

◑ 중년위기이론 (Levinson과 동료들)

: 젊은 시절의 자질과 신체적 기능이 약화되고 있음을 인식하며 고통을 겪음, 중년의 위기 or 빈 둥지 증후군 경험->이상적인 희망과 현실적 가능성 사이에 화해필요

Jung의 중년의 위기

젊은 시절의 야망이 의미를 잃어감에 따라 불완전함과 우울, 침체감 갖음

개별화: 외적 생활로부터 내면적인 명상의 삶으로 전환하여 생의 의미를 음미하도록 촉구

중년의 위기에 대한 비판

단지 일부만이 중년의 위기 경험함.

예로 빈둥지 증후군 갖지 않고 만족이 증대하는 경우가 많음.

◑ 장년기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조건- Peck

1. 지혜에 가치부여 vs 신체적 힘에 가치부여

2. 대인관계의 사회화 vs 성적 대상화

3. 정서적 융통성 vs 정서적 빈곤        4. 정신적 융통성 vs 정신적 경직성

중년의 결혼생활

▷ 빈 둥지증후군

▷ 부부관계의 변화 : 상호공유와 안정, 성실을 중시

장년기의 외도 ↑

: 자신의 색다른 양상 재발견하는 독특한 기회 제공

: 대인관계에서 새로운 성취감 얻고자 하는 열망

: 늙는데 대한 불안과 아직 매력적이라고 인식 원함

: 다른 사람의 욕구만 충족시키며 살았다는 인식

☞ 가정의 해체, 자녀들의 문제로 연결

☞ 상호 공유하는 것, 의사소통 많아야 함, 배우자에 대한 충실함 필요!

중년은 샌드위치 세대, 청소년자녀와 새대 차이, 노인부양의 의무

중년여성 폐경기-대략 50세 전후.여성 호르몬 감소로 인한 증상

장년기 인지발달

  ▷ 유동성지능-선천적으로 타고난 지능. 성인기에 접어들면서 점진적으로 감소

  ▷ 결정화된 지능-경험과 교육에 의해 축적. 장년기에도 증가


장년기 주요문제

  ▷ 가족문제와 직장문제

     이혼율의 증가로 인한 이혼상담, 법률상담. 구직문제

2. 노년기 (61세 이상)

◐ 노년기의 3단계

  : 초로기( 61-70) / 중 노년기(71-80) / 고 노년기(80+)

◐ Cui와 Vaillant (1996)의 종단적 연구

   : 노년기의 부정적 생활사건의 영향은 신체적 건강 보다 심리적 건강에 더 영향

     (우울증 조심해야 함)

◐ 노인의 성격/ 자아개념의 변화

   : 극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음

                          BUT! 성 역할의 변화

☞ 남자노인은 더욱 수동적 / 여자노인은 더 능동적이며 권위적으로 됨.

◐ '자아통합 vs 절망'(Erickson)

  - 통합감 :생의 긍정 및 부정적 양상 모두의 의미를 갖는 자신의 삶을 수용.

  - 절망 :자신의 삶에 대한 후회와 다른 삶을 살기 원하는 열망.


노년기 발달과업(Havighurst)

● 신체적, 사회적 상실에 대한 적응과 보상을 찾아야 함

● 건강쇠태에 대한 적응

● 정년퇴직과 수입감소에 대한 적응

● 배우자 죽음에 대한 적응

● 동년배들과의 유대강화

● 사회적 역할(취미활동, 단체활동)에 융통성 있게 적응

● 생활에 적합한 물리적 환경 조성

◐ 노년기의 적응유형 5가지 - Reichard 등 (1962)

  ① 성숙 형 : 자신의 삶을 보람 있게 생각

  ② 은둔 형 : 조용하고 편안한 노년을 보냄

  ③ 무장 형 : 적극적으로 활동하여 무력감과 신체저하를 막음

    ◎ 분노 형, 자학 형 : 자신의 꿈과 이상을 실현하지 못한 후회와 절망.

노년기 발달상의 적응 이슈  -Peck(1968)

▶ 자아분화 대 역할몰두

▶ 신체초월 대 신체몰두

▶ 자아초월 대 자아몰두

노화 관련이론

l 활동이론

l 은퇴이론

l 현대화이론

l 역할이론

◑ 노인

   ☞ 새로운 적응을 요구함

① 퇴직의 경험 : 재취업과 노인창업 지원 필요, 퇴직준비 프로그램

② 노인의 주거환경의 변화: 지역사회중심의 노인장기보호 필요

③ 노년기의 여가시간의 확장: 노인여가의 기회와 자원제공

④ 부부관계의 변화: 배우자 사망으로 인한 성생활 욕구문제. 노인의 이성문제 해                      결해야 함. 성생활의 이점을 고려해야 함

⑤ 주류에서 소외: 사회통합방안 필요

   예: 자원봉사활동

   세대통합 프로그램


노인학대(약 5%)

노인의 기능저하로 인한 의존성과 부양스트레스, 부양자의 우울증, 가해자의 약물중독이 주요인이 됨

◐ 죽음

<임종 5단계- Kubler- Ross>

: 부정-> 분노 -> 타협-> 우울 -> 죽음을 수용

◐ 호스피스 프로그램

: 죽음을 앞둔 노인들을 위해 필요함 .

사회복지사는 유족 프로그램, 직원지지, 자원봉사자 확보 및 교육, 프로그램 조정 및 정책개발의 역할

◐ 노인문제에 대한 목소리 높이는 방법

: 노인권익운동 ex) 은퇴자 협회

노인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노인을 자원으로 인정하는 문화 정착에 힘써야 함


15.16,17 강의자료


Chapter 15. 정신장애와 사회사업실천

1. 정신장애에 대한 관점

(1) 생물학적 설명

- 고대 그리스에서 정신이상을 질환으로 간주

- 1950년 정신 치료 약물의 발견 이후 더욱 고양

- 정신분열증의 유전적 요인을 발견 하려는 노력의 하나로 과학자들은 정신분열증     을 갖고 있는 부모의 아동을 태어나자 마다 입양하여 연구 했음.

(2) 심리적 설명 (Freud)

  정신장애를 개인의 성격발달의 부산물로 봄

  : 과거의 경험이 현재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를 봄

◑ 자아 심리학

  - 후기 이론가들(Anna Freud/Erickson)이 발전시킴.

  : 성격발달에서 방어기제의 역할/ 성장과정의 심리사회적 양상/ 생애전반에 걸친      생활주기에 초점

(3) 사회환경적 설명

- 정신질환에 대한 행동주의적 접근

: 정신질환이 '보상과 벌' 에 의한 학습된 반응

▶ 사회학습이론 : 관찰적 학습 을 강조

- 사회학자들 : 정신이상은 다양한 생활스트레스 에서 기인함 ex) 빈곤, 성차별, 인종차별

낙인이론

- 정신질환은 사람들에 의해 창출된 사회적 개념, 또는  낙인 찍힌 사람들이 수행     해야 하는 사회적 역할  이라고 봄.

(4) 체계/ 생태학적 견지

: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정신보건의 문제가 발생한다고 봄.

☞ 개인의 신체적 특성 뿐 아니라 과거와 현재의 환경내의 있는 모든 요인들에 초점을 맞추도록 안내해 줌

◑ 스트레스- 체질취약성 모델

: 현재 가장 설득력 있는 모델

  생리심리사회적 견지를 가지고 있음

☞ 생물학적 특성으로 인해 개인은 정신질환성향 을 갖게 된다고 봄

☞ 개인적 대처능력/ 사회적 자원 같은 중재

  요인으로 정신장애 촉진요인 극복할 수 있음


2.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

DSM- IV

☞ 각 축은 치료계획 세우고 결과를 예견하는데 도움

‘환경 속의 인간’ 초점을 반영함

: 심리사회적/환경적 문제 & 적응기능에 대한 정보 중시


☞ 정신장애와 관련 있는 관계상의 문제도 포함 함.

☞ CT를 낙인 찍는다는 비판, 좁은 시야를 갖게한다는 비판도 있으나, 정신장애의 정확한 분류 통해 임상 및 조사 분야에 많은 진전을 보게 되었음.

3. 정신보건 분야에서 사회사업가의 역할

◐ 정신의료 사회사업의 목적

   : 지역사회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는 사업과 정신적, 정서적 장애가 있는 사람       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 사회사업가들의 역할

   : 정신보건 서비스 & 발달장애서비스의 연속선상에서 서비스를 제공.

   - CT의 가족과 지역사회를 다루는 책임이 주로 있음.

   - 사례관리 서비스

   - 옹호자의 역할 수행

   - 정신보건 법안이나, 정책개발에도 참여 함.


Chapter 16. 주요 정신장애

1. 정신분열증

  - 가장 흔한 형태로써 사고(thought)의 장애

    : 만성질환으로 CT 삶에 매우 부정적 영향!

    : 심리학적 견해 -자기만의 세계/ 두려움,소외감  

◐ 주요 증상

① 양성(positive)증상

   : 망각, 망상, 비적절한 행동, 혼란스런 사고와 언어

② 음성(negative)증상

   : 사회적 위축/ 둔마 된 감정☞ 전형적 인간 기능 손실

◑ 진단기준 (DSM-IV)

   : 1개월 이상 활성 기 / 6개월 이상 증상존재

◑ 하위유형

: 편집 형/ 와해 형/ 긴장형 / 미 분류 형

◑ 평생 유병률

   ->미국 1.3% / 남녀 유병률 비슷함/ 겨울,이른봄

◑ 정신분열증의 원인

  - 생물학적 요인: 유전적 요인, 도파 민, 뇌 구조 이상

  - 빈곤 등의 스트레스/양육방식상 의사소통 문제


개입방안  

1) 지지적 치료

- 치료 자와 환자 사이의 치료적 동맹 향상

- 교육과 조언 / 격려와 칭찬의 제공 

- 적응적 방어기제 강화/CT의 장점, 재능↑ 

2) 사회기술훈련

- 일상생활에 필요한 구체적 기술훈련에 초점.

- 대인관계의 결핍을 해소하는 데 목적!

- 일반화(현실상황 적용)에 대한 전략이 필요

3) 인지행동 개입

- 질환의 증상과, 증상이 갖는 의미를 줄이는 데 초점을 둠

◑ 가정

: 감정과 행동이 사건자체라기 보다 개인이 갖고 있는 신념에 의해 대부분 중재된다고 봄.

☞심리교육/ 역기능적 가정의 수정/ 대처반응의 향상 등

- 사회사업가와 CT의 강력한 관계형성 통한 적극적인 CT의 치료참여 매우 중요! 

2. 기분장애

  외적 자극, 여건에 관계없이 자신의 내적 요인에 의해 상당기간 우울하거나 들

  뜨는 기분의 장애가 주축인 정신장애.

◑ 원인

: 생물학적 요인

☞ norepinephrine / serotonin 등의 활동성 여부가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 있음.

(1) 주요 우울장애 (단극성 장애)

    :  우울증은 주요정신건강 문제

☞ 다른 정신적 장애와 동반되어 나타나기도 함.

  - 자살의 주요원인(Beck, 1996) 

  - 여성의 우울증 발병률은 25%(남성의 2배)

  - 대부분 시간이 흐르면 해결 되나, 재발이 잦고 15~20% 는 만성적임

DSM-VI의 기준 : 5가지 이상 2주간 지속

이 윤 로 교수님의 우울증측정도구

개입방안

1. 인지치료: 현존하는 부정적 사고를 깨고 좀 더 긍정적이고 기능적인 사고로 대               치 시키는 것 

2. 행동치료: CT가 대인관계적 상호작용에서 효과적으로 하여 최대한의 강화를 얻               을 수 있도록 도움

           : 우울은 역경이 많은 환경의 부산물

             ☞’환경의 조작’

3. 인지행동 치료: 위의 두 요소를 가미한 치료 

(2) 양극 성 장애

▶Ⅰ형 양극 성 장애

   : 조증과 우울증 교대로 or 조증이 반복적으로

▶ Ⅱ형 양극상 장애

   : 경조 증의 수준 -> 가벼운 형태의 조증이 유지

◐ 조 증

   : 근본적으로 자신이 잘났다고 느끼는 병!

☞좋은 기분/ 과도한 자신감 /주의산만/ 성욕↑ 쉽게 흥분되고, 불안정한 감정상태


3. 정신장애에 대한 심리사회적 개입의 필요성

(1)가족 스트레스 - 고도의 EE (Expressed Emotion)->스트레스! 

(2) 약물치료 - 약물에 대한 순응도 높이기 위한 심리사회적 개입이 필요함 ! 

(3) 심리교육과 스트레스 감소

    - 가족과의 심리사회적 치료 (약물 병행)

    - 환자의 치료,재발예방에 있어 가족의 도움 확보


Chapter 17. 기타 정신장애

1. 불안장애

◐ 불안 : 내적 및 외적 자극에 대한 불편한 반응으로서 긴장과 두려운 상태

(1) 공포장애

  ▷ 폐쇄공포증 : 좁은 공간에서 불안을 호소

  ▷ 광장공포증 : 공공장소에서 불안을 호소

  ▷ 고소공포증 : 높은 곳에서 불안을 호소

  ▶ 사회공포증: 사람을 만나는 것을 두려워 함

  -> 유전, 과거의 불유쾌한 사건, 사회적 기술의 부족

  ☞ 억압된 갈등 해소 / 체계적 둔감 화 / 비합리적 신념의 제거 등

(2) 공황장애

- 가슴통증, 현기증, 땀, 떨림, 공포, 호흡곤란, 이인 증, 현실감소실 등의 증상

(3) 범 불안장애

- 땀, 위통, 잦은 소변, 숨이 가쁨, 안절부절, 불면, 참을성 부족 등의 증상

◎ 치료기법

: 과거의 갈등 해결, 체계적 둔감화, 근육이완기법 등

(4) 강박장애

: 강박적 의심/ 강박적 사고 / 강박적 충동 / 강박적 두려움 / 강박적 이미지 / 행동 .

◑ 원인

-  강압적 배변훈련, 과도하게 지배적인 부모, 강화된 학습결과

(5)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 전쟁이나 강간, 화재 같은 사건 후에 집중력, 기억, 수면장애, 우울, 불안, 그 사건의 재생기억, 악몽의 증상을 갖는 것.

2. 성격 장애

(1) 성격장애의 유형

: 성격상의 문제로 사회적 기대에 어긋나는 이상행동을 지속적으로 나타냄

◑ A 집락 : 기묘하고 괴상한 행동

☞ 편집 성, 정신분열 성, 정신분열 형

◑ B 집락 : 극적이고, 감정적, 변덕스러움

☞경계 성, 히스테리 성, 자기도취적, 반 사회성

◑ C 집락 : 불안과 두려움

☞ 회피성, 의존적, 강박적, 수동 공격적

(2) 치료

◎ 의존적 성격장애 : 독립성 키우는 과제

◎ 자기도취적 성격장애 : 인지치료

◎ 수동공격성 성격장애 : 정신분석적 기법/ 자기 주장 훈련

◎ 회피성 성격장애 : 자기주장 훈련

◎ 정신분열 성 성격장애 : 사회기술훈련

◎ 경계 성 성격장애 : 약물치료 병행 + 감정이입기법 + 문제해결기법

◎ 반 사회성 성격장애: 항 불안 제, 행동주의 프로그램 

3. 아동기 정신장애

(1) ADHD : 유전 / 뇌 손상/ 부모의 양육방식

☞ 약물치료, 학습원리를 적용한 보상기법

(2) 품행장애 : 유전/ 가족불화/ 이혼/ 부모의 양육 방식

: 공격, 거짓말, 파괴, 절도 (도덕 감의 결여& 초자아의 결함)

☞ 부모나 가족의 개입 / 부모의 훈련

(3) 학습장애

: 작은 단계마다 보상을 주는 성공 지향적 접근 필요

(4) 자폐증 :유전/ 절망감의 경험/ 부모의 무관심

: 언어발달의 장애, 같은 것 반복, 고집 등

☞ 강화요인 발견하여 적용 / 행동대안의 제시/ 약물치료

(5) 섭식장애 : 거식증/ 폭식 증

(6) 정신지체 : 지적 기능이 유의하게 평균 이하(지능지수70↓)이며, 동시에 적응                 기능의 결함이나 장애가 있는 것 


4. 알코올 중독  

◐ 개입방안

① 개별상담

- 인지행동 치료가 가정 효과적인 접근

- '동기화 면접':음주습관을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

② 행동주의적 자기통제 훈련 (약물치료의 병행)

: 음주장소의 제한/ 음주사양하기 전략/ 목표성취보상체계 설계 등

③ 혐오치료

④ 가족의 요인 (공동의존) 해소


5. 약물남용

1) 약물남용의 원인 : 다차원적인 양상을 고려

(1) 생물학적 요인

: 알코올 중독이 많은 가족 / 일란성 쌍생아 연구를 통해 발견

(2) 심리사회적 요인

① 심리 행동적 요인(성격요인)

: 낮은 자존 감, 정서적 고통

② 스트레스 적 생활사건

:이혼, 죽음, 시험, 이사 등

③ 약물남용의 결과에 대한 기대 :'행복감의 회상'

④ 사회적 통제

☞ 부모의 과보호적 통제

⑤ 가족 변수

☞ 애정결핍/거절, 가족 지지의 부족 등

⑥ 약물의 접근 성

☞ 접근성의 용이

⑦ 대인관계 (사회적 모델화)

☞ 동료들의 영향 (가족으로부터의 소외감 동반)

2) 약물남용의 치료

(1) 금단증상의 완화

: carbamazepine(CBZ)의 사용

(2) 심리사회적 개입

: 개별상담 / 집단치료/ 가족치료

(3) 절제중심 개입

: CT들이 서로상호작용하며 단주생활을 유지

(4) 예방 : ' 사회적 능력 모델'

-> 약물사용을 부추기는 환경적 압력에 대응하도록 심리적 면역력↑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행정론  (0) 2007.08.2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1  (0) 2007.07.11
[스크랩] 사회복지의정의  (0) 2007.05.16